전체 글 17

기업의 정보시스템 전략과 IT사업의 구조

개발 관련 역량을 키우기 위해 어떻게 공부할 지 알아보던 중 파이온티어 개발 지식 정복 코스🔗 7기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수업은 실시간 Goolge meet로 진행되며,  오늘은 IT업계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내용을 배웠습니다. 수업 후 GPT에게 궁금한 것들을 물어보며 내용을 정리했어요. 아래는 GPT와의 질문 답변 내용입니다.  ChatGPT - MSP CSP SI 차이Shared via ChatGPTchatgpt.com 저는 현재 클라우드 SaaS업계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MSP와 CSP라는 단어가 익숙하고 눈치껏 어떤 느낌인지는 알고 있었지만 부끄럽게도 정확한 정의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습니다. 이번 수업에서 SI/SM업체, 솔루션 업체 등의 개념을 배웠는데 CSP와 MSP와는 어떻게 다른..

Business 2025.03.23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말한 '업의 본질'이란?

이부진 사장 "업의 본질에 집중…생존 넘어 성장기틀 마련"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업(業)의 본질에 집중하겠다"www.yna.co.kr 주식에 대해서는 문외한이지만, 봄바람과 함께 주주총회 철이 온다는 것만은 알고 있습니다. 오늘 뉴스기사를 보다 우연히 이런 기사를 읽게 되었습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2025년 3월 20일 열린 제52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업의 본질에 집중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는 기사입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사즉생' 각오를 다지고 이부진 호텔신 사장은 '업의 본질'에 집중하겠다고 합니다. 대기업들에게도 어려운 시기가 맞나 봅니다.   어떤 맥락에서 '업의 본질'에 집중해야만 하겠다는 판단을 했을까? 지금처럼 글로벌 경제가 불안정하고 국내외 ..

Business 2025.03.20

채널톡으로 알아보는 AI CS 챗봇

채널톡의 ALF - AI 어시스턴트 기능의 무료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다는 소식을 봤습니다. 채널톡의 AI로 ALF라는 이름을 작년 출시때부터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무료 베타 서비스를 하는 기능은 ALF의 어시스턴트 기능입니다. 기존의 AI 에이전트 ALF는 고객과 주로 만나는 AI로, 고객의 질문에 답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에 무료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는 AI 어시스턴트는 고객이 아닌 채널 내 매니저가 고객과의 상담 중에 필요할 때 귓속말로 소환해 답변을 받는 형식입니다. 고객이 상담원과 대화하는 상황에서 AI 어시스턴트가 뒤에서 상담원을 도와주고 있는 모양이 상상됩니다. 고객이 AI와 대화하도록 강요하는 것 보다는 이렇게 뒤에서 AI가 사람을 보조해 주는 것이 매우 영리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

Product 2025.03.19

chatGPT의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 버튼 위치에 대한 고찰

요즘 핫한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 기능은 ChatGPT가 최근 선보인 웹 검색 기반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는 사용자들이 특정 주제나 질문에 대해 더욱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용자가 특정 주제나 질문을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인터넷에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심도 있는 보고서까지 생성해줍니다. 심층 리서치 기능은 GPT-4o, GPT-4.5, o1 등 모델 자체를 변경하는 기존의 모델 선택 드롭다운과는 다르게, 동일한 모델을 유지한 채 입력창 내에서 필요할 때마다 활성화할 수 있는 토글 버튼 형태로 제공됩니다. 저는 이 기능의 버튼 위치가 입력창 속으로 들어간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AI서비스들이 발전할수록 점차 입력창..

Product 2025.03.18

[심리법칙] 시작 편향, 피드포워드

🔗언젠가 써먹는 심리효과 101-haebom 사이트를 참고해 심리법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 시작 편향(Anchoring Bias)사용자가 본 첫 번째 정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 처음에 제시된 정보가 사용자의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후 정보에도 영향을 주는 편향. 🔎 딥서치의 튜토리얼딥서치에 처음 가입하면, 기업 정보를 어떻게 검색하는지를 알려준다. GNB의 여러 기능을 하나씩 보여주지 않고, [기업 검색] 기능만 상세하게 알려주어 검색의 결과물까지 보여준다.다른 기업 정보 사이트들과 달리 첫 인상에서 쉽고 간단하게 [기업 검색]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각인됨을 느꼈다.지금까지 튜토리얼을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고객들이 따라가기를 권장하는 플로우를 보여주고 시작하는 것이 꽤..

User Experience 2025.03.13

[심리법칙] 스트라이샌드 효과, 간결의 법칙

UX/기획에 활용되는 심리효과 스터디를 직장 동료들과 하고 있다.이 스터디를 제안해준 동료 J에게 감사하다. 각자 두세개씩 공부하고 매주 각자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는 식으로 진행하고 있다.심리 법칙들의 개념을 공부하고, 이 법칙들이 적용된 실제 사례를 찾는 과정이다.심리 법칙들은 이곳(🔗언젠가 써먹는 심리효과 101-haebom)에서 하나씩 선정해 공부하고 있다.  📵 스트라이샌드 효과 (Streisand Effect) 정보나 콘텐츠를 검열하려는 시도가 그 정보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는 현상. 원래 의도와는 반대되게 정보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함.  🔎 그록3 검열 정황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 "머스크·트럼프 거짓정보 퍼트린다" 정보 거부, 그록3 검열 정황xAI "직원이 한 일…우리..

User Experience 2025.03.12

새로 산 노트북, 새로 판 블로그, 새롭게 먹는 마음

노트북을 샀다. 거실에 이미 데스크탑 2개가 있는데도 방안에 들어와서 혼자 컴퓨터를 하고 싶어져서 노트북을 샀다. 새로운 노트북으로 공부도 열심히 하고 포폴도 열심히 만들어야겠다.  작년에 매일 일기를 쓰다가 흐름이 끊겨버렸다. 올해는 일기 대신 매일 퇴근하고 블로그를 꼭 쓰기로 다짐한다.스터디 한 내용도 쓰고, 여러가지 아카이브 용도로 새로운 블로그를 팠다. 네이버블로그에서는 텍스트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은 콘텐츠를 쌓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껴서 티스토리로 오게 되었다. 브런치를 연재하기에는 전문성이 부족해 아직 엄두도 못 냈다. 티스토리에 꾸준히 천천히 혼자 공부하는 내용과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둘 예정이다.스터디 한 내용, 서비스 사용 후기나 혼자만의 인사이트, 포트폴리오나 이직 과정도 차곡차곡 정..

Growth/Journal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