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3

B2C AI 캐릭터챗이 돈이 되는 이유

생성형 AI가 서비스로 상용화된 이후, 다양한 활용 사례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텍스트 요약, 이메일 자동 작성, 코드 생성, 이미지 편집 등 생산성 기능들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죠. 그런데 전혀 다른 방향에서 성장한 분야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캐릭터챗입니다. 캐릭터챗은 단순한 질문 응답이나 도구형 AI가 아니라, 인격을 부여한 AI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캐릭터 기반 대화 서비스입니다. 캐릭터챗은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으며 최근 B2C AI 시장 내에서 드물게 실질적인 수익을 내는 분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캐릭터챗에 대해 탐구해 보겠습니다. B2C AI, 기술은 있지만 돈은 못 번다? OpenAI sees roughly $5 billion loss this year on $3.7..

Product 2025.04.17

채널톡으로 알아보는 AI CS 챗봇

채널톡의 ALF - AI 어시스턴트 기능의 무료 베타 서비스가 시작되었다는 소식을 봤습니다. 채널톡의 AI로 ALF라는 이름을 작년 출시때부터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무료 베타 서비스를 하는 기능은 ALF의 어시스턴트 기능입니다. 기존의 AI 에이전트 ALF는 고객과 주로 만나는 AI로, 고객의 질문에 답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에 무료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는 AI 어시스턴트는 고객이 아닌 채널 내 매니저가 고객과의 상담 중에 필요할 때 귓속말로 소환해 답변을 받는 형식입니다. 고객이 상담원과 대화하는 상황에서 AI 어시스턴트가 뒤에서 상담원을 도와주고 있는 모양이 상상됩니다. 고객이 AI와 대화하도록 강요하는 것 보다는 이렇게 뒤에서 AI가 사람을 보조해 주는 것이 매우 영리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

Product 2025.03.19

chatGPT의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 버튼 위치에 대한 고찰

요즘 핫한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 기능은 ChatGPT가 최근 선보인 웹 검색 기반의 새로운 기능입니다.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는 사용자들이 특정 주제나 질문에 대해 더욱 깊이 있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사용자가 특정 주제나 질문을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인터넷에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심도 있는 보고서까지 생성해줍니다. 심층 리서치 기능은 GPT-4o, GPT-4.5, o1 등 모델 자체를 변경하는 기존의 모델 선택 드롭다운과는 다르게, 동일한 모델을 유지한 채 입력창 내에서 필요할 때마다 활성화할 수 있는 토글 버튼 형태로 제공됩니다. 저는 이 기능의 버튼 위치가 입력창 속으로 들어간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AI서비스들이 발전할수록 점차 입력창..

Product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