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써먹는 심리효과 101-haebom 사이트를 참고해 심리법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 특이성 효과(Singularity Effect)
사용자가 그룹보다 개별 개체에 불균형하게 관심을 가지는 현상.
개별 사례나 이야기가 대중의 관심을 끌 때 사용.
🔍 기부 단체의 기부 캠페인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언제나 어린이 곁에, 초록우산
www.childfund.or.kr

- 디스플레이 광고에서도 집단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1명의 사진을 보여줌
- 폴 슬로빅(Paul Slovic)의 연구: 1명의 아이 사진을 보여줬을 때 기부액이 집단을 보여줄 때보다 2배 이상 증가함
- 기부 캠페인에서 개별적인 사례에 대해 집중 조명함으로써 관심을 불러 일으킴. 거의 대부분의 기부 단체들이 개별 사례를 부각시키는 식으로 기부를 장려함
- 메인 화면이나 광고 이미지에도 개별 사례의 인물에 대한 스토리를 부각시키는 식으로 관심을 유도함
🔍 구매자들의 개별 후기 노출


- 집단의 평균 리뷰 점수보다는 개인의 감정적인 후기에 더 공감하는 특성 있음
- 소비자 입장에서 평균 리뷰 점수는 당연히 높아야 하고, 개별 후기의 신뢰도와 공감도가 높아야 구매를 결정하게 됨
- 후기 UI 상단에 감정 몰입도 높은 후기를 고정 노출하거나, 상세페이지 내에 구성하는 경우 많음
🔍 나이키 트레이닝 클럽의 트레이너 소개

Nike Training Club 앱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운동
NTC에서는 집중 바디웨이트 세션, 활기를 북돋우는 요가 수업, 맞춤형 트레이닝 프로그램, 운동 장비를 활용하는 홈 트레이닝 등 멤버 개개인의 모든 체력 수준을 고려한 185여 개의 운동 프로그
www.nike.com
- 전문 트레이너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에서 나아가, 개별 트레이너들의 가치관과 스토리를 소개함.
- 트레이너들을 한 명씩 소개하니 이 사람들이 마치 1:1 밀착 케어를 해줄 것만 같은 느낌을 줌
- 트레이너 각각의 스토리를 읽으며 공감하고 몰입하기 때문
🔍 몰입도를 높이는 말해보카 웹사이트 메인 화면

- 웹사이트에 접속하자마자 “나는 왜 못했을까?”를 생각해보게 함으로써 몰입도를 높임
- 사람들은 누구나 다른 사람의 이야기보다 나 자신에 대해 가장 관심이 많음. 나에 대한 이야기로 관심을 끌어 올린 뒤 문제 - 해결의 구조를 직관적으로 구성함
💭 사람들은 많은 이야기보다 한 사람의 진짜 이야기에 마음이 움직인다고 한다. 특이성 효과는 개인화 + 감정 호소 + 스토리텔링의 조합에서 최고의 힘을 발휘한다고 하는데 역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광고 측면에서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것 같다.
❗ 아하! 모먼트 (Aha! Moment)
사용자가 제품의 가치를 처음으로 인식하는 순간을 의미.
이 순간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장기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음.
아하 모먼트를 신규 고객이 잔존 고객으로 전환되는 경험과 그 기준으로 보기도 함.
🔍 아하 모먼트 찾는 방법 (데이터 분석)
[06] 아하모먼트(Aha Moment) - 고객이 가치를 느끼는 순간
1. 아하모먼트(Aha Moment) 는 무엇인가?사용자가 제품의 핵심가치를 경험하는 순간서비스를 계속 쓰게 되는 특이점 (Sigularity)이 행동을 한 유저의 95%가 리텐션이 생기는 행동 Aha Moment는 정량적으
imkus.tistory.com
믹스패널(Mixpanel)로 아하 모먼트(Aha Moment) 찾기 | 마켓핏랩 솔루션즈
이 글은 아하 모먼트(Aha Moment)의 개념과 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툴, 믹스패널(Mixpanel)로 아하 모먼트를 발견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한 글입니다.
www.mfitlab.com
🔍 되는시간의 온보딩 튜토리얼


- 되는시간은 서비스의 가장 핵심이 되는 플로우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튜토리얼을 구성함
- 튜토리얼이 하라는대로 하면 아~ 이렇게 하는거구나 하고 아하 모먼트가 생기는 것을 느꼈음
- 오히려 세세하게 이거 눌러라 저거 눌러라 버튼을 주는것보다 그냥 옆에 띄워주고 스스로 해보라는 식으로 유도해서 좋았음
- 튜토리얼에서 테스트 해본 결과물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도 좋았음
- 튜토리얼 과정에서 서비스가 간편하다는 점을 직접 체험하게 되어 아하 모먼트를 경험하게 됨
🔍 알라미의 인사이트 : 아 모먼트
아하 모먼트가 아닌 아 모먼트
데이터 이면에 존재하는 마찰 지점 | 아하 모먼트는 신규 유저가 처음으로 제품의 가치를 느낀 순간을 의미하는데요, 이것이 잔존율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아하 모먼트를 얼마나 빠른 시점에
brunch.co.kr
💭 뭐든지 전환이 되는 지점을 알면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서비스에서 고객 유지를 위해서는 아하 모먼트가 핵심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하 모먼트를 찾는 과정에서도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므로 데이터를 분석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더 확고하게 들었다.
'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법칙] 주목효과, 미끼효과 (0) | 2025.05.11 |
---|---|
[심리법칙] 유사성의 법칙, 가용성 휴리스틱 (0) | 2025.03.25 |
[독서기록] 하루 한 장 UX의 법칙 100 (0) | 2025.03.24 |
[심리법칙] 시작 편향, 피드포워드 (0) | 2025.03.13 |
[심리법칙] 스트라이샌드 효과, 간결의 법칙 (0) | 2025.03.12 |